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세상에서 가장 오래 산 사람│'의심병자'의 기록

'세상에서 가장 오래 산 사람'은 대체 몇 살을 살았을까?

놀랍게도 256년을 살았다고 한다.

256년을 살았다고 회자되는 리칭윤

아이(아들2)가 이 문제를 퀴즈로 내고 엄마와 아빠가 맞추게 했다.

나는 당연히 120세 전후가 인간의 최대 수명이라고 이야기하면서 그 언저리 일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아이는 256년을 산 중국인 이야기를 해줬다.

역시 당연히 나는 '그건 뻥이다'라고 의심하였고,

아내는 아이가 검색해서 알아낸 것이며, 관련 증거*를 고려할 때 신뢰할 만한 것이라 이야기하며, 아이와 자신이 이야기한 것마저 믿지 못하느냐는 핀잔을 주었다.

*현재까지 세계에서 가장 오래 산 사람에 대한 기록은 중국인 이청운(중국명:리칭윤, 李靑雲, 1680~1933)입니다. 무려 256년을 살았는데요. 청나라 황실에서 그의 150세 생일을 축하한다는 공식문서를 보낸 것이 발견되는 등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 산 사람으로의 기록이 남아있습니다. 심지어 미국 뉴욕 타임즈가 이청운의 장수 비법을 소개하기도 했습니다. - 출처: 세계에서 가장 오래 산 사람의 식습관은?

위 기사는 생몰년 확인조차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았다. 1933-1680=253이다.

다른 글(리칭윈-나무위키)을 보니, 출생년을 1677로 적고 있다.

253이든 256이든, 이렇게 장수했다는 걸 인정하는 근거는 '청나라 황실의 공식문서'와 본인의 주장이 다다.

리칭윤의 최장수 기록은 기네스북에 등재되지 않았다. 그의 수명을 확인할 수 있는 '객관적 증거'가 부족하기 때문이리라.

반면 기네스북에서 인정하고 있는 공식 최장수 기록은 프랑스인 잔느 깔망Jeanne Calment의 122세 164일이다. 출생증명서 등 관공서 서류 및 사진 등으로 누구도 의심할 바 없이 인정할 수 있는 사례로 보인다.

현재 '확인된' 최장수자 잔느 깔망Jeanne Calment이다

기록된 것은 '주장된 것'일 수 있다. 므두셀라가 성서에 969년을 살았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지금 그 수명을 믿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기독교인이면 모르겠지만).

영화 <노아> 속의 므두셀라methuselah

므두셀라의 수명은 믿지 않으면서 리칭윤의 수명을 믿어야 할 이유는 없어 보인다.

다만 '왜 그러한 정보를 믿는가'를 이해하지 못하는 건 아니다. 

우리가 정보의 신뢰도를 때론 정보 전달자의 신뢰도로 평가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그러한 정보를 믿고 있느냐로 평가하고 있기도 하다.

사실은 언제나 '객관적 사실'이 아니라 '심리적 사실'이다. 그 객관성이 확인되는 것은 검증 과정을 통해서 확인될 때 뿐이다.

그런 면에서 잔느 깔망의 수명도 충분히 의심해 볼 수 있다. 기네스북, 프랑스 측 기록과 검증 주장 등으로 볼 때, 리칭윤 사례보다는 상대적으로 더 신뢰할 만할 뿐이다.

잔느 깔망의 기록을 의심하는 연구가 러시아에서 나오기도 했다(122세까지 산 '세계 최장수' 할머니는 가짜?…佛 "진짜" 일축).

물론 이러한 사실을 아내에게 이해시키지는 못했다.

그래서 오늘도 나는 '의심병 환자'가 되었다. 

뭐... 인정.

━━━ ∞ ━━━

이 글은 이전 블로그에서 2020년 10월 8일에 작성된 글을 약간 수정한 것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한 그루의 사과나무를 심겠다'는 누가 한 말일까? 스피노자인가 루터인가? │ 오귀인 사례 (5)

'비록 내일 지구의 종말이 온다 하여도, 나는 오늘 한 그루의 사과나무를 심겠다.' '내일 세상이 멸망해도 나는 오늘 한 그루의 사과나무를 심겠다.' 이 명언을 모를 사람이 있을까? 나는 어렸을 때 이 말을 스피노자라는 철학자가 했다고 들었던 것 같다. 그래서 누구의 말인지 궁금하게 생각해 본 적도 없는데, 우연히 이 말의 최초 발화자에 대한 설왕설래가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 이 말도 오귀인(misattribution) 된 말인가,라는 호기심을 가지고 이것저것 찾아봤다. 그 결과를 정리해 본다. ─── ∞ ─── 일반적으로 한국에서는 '스피노자'가 한 말로 여겨진다.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를 통해서 찾아보면, 관련 언급을 1962년 4월 5일자 조선일보 기사에서 찾아볼 수 있다. 『비록 來日 世界의 終末이 오더라도 나는 오늘 사과나무를 심겠다』고 「스피노자」인가 누군가가 말했다지만.. 기사를 통해서 그 출처를 확인할 수 있지만 과연 기자가 지어낸 것인지, 어느 출판물에 언급된 것을 인용한 것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과거에 국내의 최초 언급 사례로 1966년 기사가 지목되었는데(참고: [팩트체크] 내일 지구가 … 한그루의 사과나무를? ), 조선일보 자료가 최근에(2020년) 서비스되기 시작했기 때문에 그랬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니 최초 출처는 새로운 데이터가 나오면 향후에 충분히 업데이트 될 가능성이 있다. '오늘 사과나무를 심겠다'의 발언자가 '스피노자가 아니다'라는 글들은 의외로 많이 보인다(구글검색 결과).  여러 글들을 검토해 보면, '스피노자가 한 말이다'라는 건 한국에서만 유행한 듯 싶다. 구글 검색으로 'Even if I knew ... apple tree'를 찾아보면 대부분 마틴 루터를 언급하고 있고, 일부 게시물에서 루터도 아니고 1944년 독일에서 해당 발언을 루터에게 돌리는 한 목사의 발언을 볼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된다(" Whi

리마커블2 사용 후기 - 연구자들에게는 좋을지도

40대에 들어와 슬슬 노안이 오다 보니 '눈부심' 없이 논문이나 pdf로 된 책을 읽고 싶다는 마음이 굴뚝같았다. 그래서 e-ink tablet을 찾아봤다. 그래서 나온 결론은 reMarkable2였다. 사전조사로 선택(2,3년 전쯤부터 이 태블릿에 주목했다)한 이유는 1. '종이에 쓰는 것 같은' 필기감 (필기를 좋아하는 편은 아니지만, 전자 메모장이 있었으면 하긴 했다. 무언가 구상을 하며 낙서한 것을 컴에 저장해 놓을 필요성이 있었기에) 2. 디자인이 심플하다 (계속 써야 하는 기기니 디자인이 좋아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하기에) 정도였다.  ebook(epub만 가능), pdf를 e-ink로 볼 수 있으면서 그런 조건을 만족한다니 이게 좋겠다 싶었다. 검토 과정에서 후기들을 보니, 결론은 '극악의 가성비 및 사용성 제약' 때문에 "비싼 메모장"으로 불리는 것을 알게 되었다. 사실 그건 큰 장애물은 아니었지만, 구입을 주저할 만한 이유는 되었다. 더 신경 쓰였던 문제는 해상도였다. 컴퓨터로 메모한 것이나 그림 그린 것을 확대하면 해상도가 좋지 않게 나온다는 지적이 있었다(사실 사용해 보니 그런 건 큰 문제는 아니었을 것 같다.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로 개선한 문제인 것 같기도 하다. 컴터로 봐도 매끈하게 나온다). 리마커블2에 메모한 것 pdf로 내보내기 해서 pc로 확대해 본 결과(색깔 쓰기도 된다) 필기구 형태, 글씨 두께, 색깔(검, 회, 백, 파, 빨)을 변경할 수 있다  해상도 문제가 개선되길 기대하며 reMarkable3가 나오면 사보자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길 2,3년의 시간이 흘러, re3가 나올 기미도 없고, re2를 사서 쓰다가 re3가 나오면 갈아타자 싶어서 주 초에 '중고나라'를 통해서 re2를 샀다. (신품은 너무 비쌌다. 마커, 커버 등을 갖추니 80만원이라니. 이건 아내의 결재를 받기 불가능했다) 그렇게 싸지도 않게(40) 중고를 구매했다. 커버와 마커